고궁·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

겨울 사진 여행 ' 덕수궁 탐방 ' = 대한문, 물개상, 중화전과 중화문, 조형물, 최정화 = 장미빛 인생, 덕수궁 돌담길, 사자상 담아온 사진 이야기/2025년 02년 12일.

스마일 김상호 2025. 2. 16. 12:19

눈내린 후 설경 찾아

덕수궁 탐방 =

대한보, 정관현, 물개상(象), 중화전, 중화문,

석조전 일원, 조형물(象), 최정화 작 장미빛 인생,

덕수궁 돌담길, 사자상 등 담아온

사진으로 읽기

2025년 02년 12일.

덕수궁 = 매주 월요일 휴관(休官)

덕수궁(德壽宮)

덕수궁은 조선의 14대 왕 선조가 임진왜란 때 피난을 갔다 돌아온 후

월산대원군의 후손들이 살던 집을 임시거처 "정릉동 행궁"로 삼으면서

처음 궁궐로 사용 되였다. 이후 광해군이 창덕궁으로 옮겨 가면서

정릉동 행궁에 경운궁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경운궁에 다시 왕이 머문 것은 조선 26대 왕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

잠시 머물다가 경운궁으로 옮겨 오면서부터이다.

고종은 경운궁으로 돌아와 조선의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환구단을 지어 하늘에 제사를 지낸 뒤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고종은 대한제국의 위상에 걸맞게 덕수궁에 여러 전각을 세우고

영역을 확장하였다.당시 궁궐은 현재 규모으 3배 가까이 되었다.

1907년 고종이 일제 강압에 의하여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나면서부터

경운궁은 덕수궁으로 불리었다. 고종은 1919년 승하할 때까지

덕수궁에서 지냈으며, 고종 승하 이후 덕수궁 권역이

빠르게 해체 및 축소되었다.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석조전은 1897년 대한 제국 선포 후 건립을 계획하여 1900년 착공하고, 1910년에

준공하였다. 엄격한 비례와 좌우 대칭이 돋보이는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내부에 접견실,

대식당, 침실과 저재 등을 갖춘 근대 건축물이다. 석조전은 일제강점기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면서 훼손되었지만 2014년에 1910년 준공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하여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으로 개관하였다.

광명문(光明問)

광명문은 고종이 기거하던 함녕전으로 들어가는 문으로 대한제국 시기에

건립되었다. 1919년 고종이 함녕전에서 승하하자, 국장 때 고종의 관

광명문을 통해 나왔다.

일제강점기에 덕수궁이 크게 훼손되면서 광명문 좌우에 있던 행각이

철거되고, 1930년대 광명문도 중화문의 서남쪽으로 옮겨졌다.

나중에는 광명문 안에 물시계인 자격루와 홍천사명 등종을

보관하기도 하였다.

덕수궁 권역의 복원을 진행하면서 2018년 12월, 광명문은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대한문 (大漢門)

색의 변환으로 다른 느낌 표현

 

 

물개상 

 

 

중화전 

 

 

중화문 

 

중화전 

 

 

조형물 

 

 

최정화 작  장미빛인생 

 

 

탐방객 

 

 

덕수궁 돌담길 

 

사자상 

 

오늘 여행을 마치다.

찾가가 : 전철 인천행, 서동탄행 탑승 --> 시청역 2번출구로 나와 도보 이용. 

 

 

 

 

'고궁·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사진 여행 = 창경궁과 창덕궁 탐방 = 홍화문, 명전문, 명전정, 공생 = 느티나무와 회화나무, 춘당지에서 담은 다양한 풍경, 대온실에서 담은 = 동백꽃, 피라카다, 작은 금붕어, 유자나무 열매, 영춘화, 소철, 온실에서 나와 담은해시계, 풍기대, 멀리 남산타워, 양화당, 통명전, 경춘전, 환경전, 함인정, 문정전. 창덕궁에서 담은 = 인정전, 인정문, 진성문, 회화나무, 대로변에서 담은 다양한 석상(石象) 등 담아온 사진 이야기 / 2025년 0  (2) 2025.01.30
겨울 사진 여행, 경복궁 이야기 / 광화문 이야기 / = 불로문, 흥례문, 근정전, 경회루와 풍경, 하향정, 숙설소 터, 향원정, 영지 문, 하향정, 풍경, 국립민속박물관 외형, 취향교, 열상진원 샘, 집옥재 일원, 건청궁, 동궁일원, 탐방객들 기념촬영 장면, = 광화문, 해치, 세종대와象, 나눔온도, 충무공 이신순장군象 등 둘러 보며 담아온 사진 이야기 / 2025년 01월 29일.  (0) 2025.01.30
겨울 여행 ' 경복궁과 광화문 탐방 ' = 불로문, 흥례문, 근정문과 근정전, 경회루와 풍경, 하향정, 숙설소 터, 향원정, 취향교, 열상진원 샘, 집옥재 일원, 건청궁, 만시문. = 경복궁의 사자상, 해치, 세종대왕象, 해시계, 측우기, 혼전의, 묘기. 2025년 1월 13일.  (1) 2025.01.14
초 겨울에 ' 덕수궁 탐방 ' = 광명문, 다양한 풍경, 물개상(象), 다양한 조형물과 풍경, 최정화 작 장미빛 인생, 다양한 크리스마스 튜리, 대한문, 조형물. 2024년 12월 24일.  (2) 2024.12.24
눈 온 후 가장 추운 날 ' 경복궁과 주변. 광화문 탐방 = 불로문, 근정전, 경회루와 주변 연못의 풍경, 수문장의 뒷모습, 향원정, 취향교, 열상진원 샘, 숙설소 터, 건청궁, 12지상상, 국립민속미술관 주변 풍경, 조형물, 옛날 집, 연자방아간, 석상, = 광화문, 사자상, 조형물, 세종대왕, 광화문마케 등 담아온 사진 이야기 / 2024년 12월 22일.  (0) 202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