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
피사체 다르게 보고
다르게 촬영하기
촬영장소 : 양수리 세미원
촬영초점[대상] : 연꽃과 주변풍경
촬영방법 : 다중. 색의변환.다르게 보기
촬영일자 : 2019년 8월 1일
芝蘭之交[지란지교]
벗 사이의 깨끗하고 맑은 교제 : 지초와 난초는 둘 다 향기로운 꽃으로
지란지교는 곧 지초와 난초처럼 맑고 깨끗한 두터운 벗 사이의 사귐을 일컫는다
늦둥이(연꽃)의 미(美)
難兄難弟[난형난제]
어느 편이 낫다고 할 수 없는 경우 쓰이는 말 : 형 노릇 하기도 어럽고
동생 노릇 하기도 어렵다는, 兩者[양자] 중에서 어느 편이 낫다고
판달할 수 업는 경우에 사용된다
신록
長幼有序[장유유서]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가 필요함 : 오륜[五倫]의 하나로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순서와 질거가 있어야 함을 뜻한다
1-나어때요 ?
父子有親[부자유친]
아버지와 자식사이에는 침함이 필요함 : 가정윤리의 실천덕목인 오륜의 하나로,
부모는 자식에게 인자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을 다하라는 말이다
나어때요 ?
가서만금[家書萬金]
집에서 온 편지의 소중함을 뜻함 : 타국이나 타향에 살 때는 고향 가족의 편지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의 값이 황금 만 냥보다 더 소중하다는 뜻이다
나어때요 ?
朋友有信[붕우유신]
친구 사이에는 믿음(信義)이 중요함 : 사람은 항상 서로 사귈 벗을 찾아 함께
어울리며 살아간다. 그리고 어떤 벗이든 벗과 서로 사귀는 데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나어때요 ?
管鮑之交[관포지교]
이해하고 믿는 깊은 우정 : 管仲과 포숙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서로 이해하고 믿고 정답게 지내는 우정을 나타낸다
나어때요 ?
反哺之孝[반포지효]
어버이의 은혜에 대한 자식의 지극한 효도 : 어미에게 되먹이는 까마귀의 효성
이라는 뜻으로, 어버이의 은헤에 대한 자식의 지극한 효도를 이르는 말이다
나어때요 ?
竹馬之友(죽마지우)
소꼽친구를 일컫는 말 : 죽마를 타던 어릴 때의 친구라는 뜻으로,
소꼽친구를 이르는 말이다
孟母三遷(맹모삼천)
이웃을 가려 사귀고, 환경을 골라 옮김 : 孟子의 어머니가 맹자를
제대로 교육하기 위하여 집을 세번이나 옮긴다는 뜻으로,
교육에는 주위환경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휴식중
肝膽相照(간담상조)
숨김없이 친하게 사귐 : 서로가 마음을 툭 털어놓고 숨김없이
친하게 사귄다는 뜻이다
휴식중
以心傳心(이심전심)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함 : 글이 아닌 마음과 마음으로 전하였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불교의 심오한 진리를 깨닫게 해주는 말이다.
현대의 '텔레파시가 통한다'와 유사한 의미이다
작업중
昏定晨省(혼정신성)
부모에게 효도하는 도리 : 저녁에는 잠자리를 살피고, 아침에는 일찍이
문안을 드린다는 뜻으로, 부모에게 효도하는 도리를 이르는 말이다
작업중
脣亡齒寒(순망치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긴밀한 관계 :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긴말한 관계를 일컫는 말이다
夏服입은 수련
莫逆之友(막역지우)
허물없이 친한 친구 : 서로 거스르지 않는 친구라는 뜻으로, 아무
허물없이 친한 친구를 가리키는 말이다
夏服입은 수련
偕老同穴(해로동혈)
생사를 같이 하는 부부의 사랑 : 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 하는 부부의 사랑의 맹세를 비유한 말이다
愼終追遠(신종추원)
부모의 장례와 제례를 정성껏 모심 : 부모의 장례를 엄숙히 하고
조상의 제사를 정성스레 올린다는 뜻이다
斑衣之戱(반의지희)
늙어도 부모에게 효도를 다함 : 때때옷을 입고 논다는 뜻으로, 늙어서도
부모에게 효도한다는 말이다
首丘初心(수구초심)
근본을 잊지 않는 마음 : 여우가 죽을 때에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바르게 하고 죽는다는 말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비유한 말이다.
근본을 잊지 않는 마음을 일컫는다
夏服입은 수련
勸善懲惡(권선징악)
善을 권하고 惡을 나무람 :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짓을 징계한다는 뜻이다
九死一生(구사일생)
죽을 고비를 아홉 번이나 넘김 : 죽을 고비를 여러 차레 겪고
간신히 살아난다는 말이다
殺身成仁(살신성인)
정의를 위해 목숨을 희생함 : 仁義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다는 뜻으로
살신성인은 반드시 목숨을 바치는 것뿐 아니라 자신의 고통을 감수하며
이웃에 봉사하거나 자신의 이익을 양보하여 남을 위하는 경우도 사용
할 수 있는 말이다
轉禍爲福(전화위복)
화가 바뀌어 복이 됨 :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는 뜻으로 현대에는
"전화위복이 될지 누가 알랴".라는 말로 요행이 강조되어 쓰인다
改過遷善(개과천선)
착한사람으로 거듭남 : 잘못 들어선 길을 버리고 착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겠다는 결의를 실천하여 마침내 이룩함을 이르는 말이다
休息
曲學阿世(곡학아세)
아부를 하며 출세를 꿈꿈 : 배운 것을 바르게 펴지 못하고,
그것을 굽혀가면서 세속에 아부하여 출세하려는
태도나 행동을 가리키는 말이다
自業自得(자업자득)
자기가 저지른 잘못은 자신에게 다시 돌아감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는 자기 자신에게 돌아감을 뜻한다
刻骨難忘(각골난망)
고마음이 뼛속에 깊이 새겨짐 : 은혜를 입은 고마음이 뼈에 깊이 새겨져
잊혀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다른 사람에게 입은 은덕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마음속 깊숙이 사무치어 결코 잊을 수 업다는 뜻이다
變換의 美
起死回生(기사회생)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남 : 죽을 목숨을 다시 살려낸다는 뜻으로,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구원하여 사태를 호전시킨다. 즉, 큰 은혜를 베푸는 것을 말한다
나어때요 ?
螢雪之功(형설지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 : 가난한 사람이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함을 일컫는 말이다
噴水
浩然之氣(호연지기)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기운 : 하늘과 땅 사이에 넘치게 가득 찬
넓고도 큰 원기나, 또는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정대하여 조금도 부끄럽지
않은 도덕적 용기를 일컫는 말이다
見物生心(견물생심)
물건을 보고 생기는 욕심 : 좋은 물건을 보면 누구나 그것을 가지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는 뜻이다
둘이서
明鏡止水(명경지수)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 : 밝은 거울과 정지된 물이라는 뜻으로,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본래는 무위(無爲)의 경지를 가리켰으나 후일에 그
뜻이 변하여 순진무구한 깨끗한 마음을 가리키게 되었다
仁慈無敵(인자무적)
인자한 사람에게는 적이 없음 : 인자한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는 뜻이다.
부드러운 것이 강한 것을 이기고, 붓이 칼을 꺽는 법이다
눈으로 避暑하기
漸入佳境(점입가경)
점점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됨 : 경치나 문장 또는 어떤 일의 상황이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된다는 뜻이다
苦惱
四面楚歌(사면초가)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임 :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孤立無援(고립무원)의
상태로 사방에서 빗발치는 비난 속에 외톨이가 된
샹태를 비유하여 말하기도 한다
多多益善(다다익선)
많으면 많을수록 좋음 :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이다.
다방면에서 많을수록 좋다는 뜻으로 두루 쓰인다
空中樓閣(공중누각)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무너짐 : 공중에 떠 있는 신기루라는 뜻에서,
겉모양은 번드르하지만 기초가 약하여 오래가지 못하거나
실현 불가는한 일 등에 빗대여 사용한다
無用之用(무용지용)
보는 것과는 달리 쓸모가 있음 : 언뜻 보기에 무용하게
보이는 것이 실은 유용하다는 뜻이다
內憂外患(내우외환)
인간은 항상 근심 속에 살고 있음 : 나라 안의 근심이나
분쟁과 나라 밖으로부터의 환난이라는 뜻으로,
인간은 항상 근심 속에 살고 있다는 말이다
두물머리 풍경(세미원에서 본)
烏飛梨落(오비이락)
까마귀 날자 배가 떨어짐 : 아무런 관계도 없이 한 일이 우연히 동시에 일어나,
다른 일과 관계된 것처럼 남의 오해를 받게 됨을 비유하는 말로 결국 그 일로
인해서 일이 나쁘게 전개됨을 암시한다
風前燈火(풍전등화)
존망이 달린 매우 위급한 처지 : 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존망이 달린 매우 위급한 처지를 비유하는 말이다
늦둥이(연꽃)의 미(美)
玉石混淆(옥석혼효)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뒤섞여 구분이 힘듦 : 옥과 돌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다는 뜻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뒤섞여서
좋고 나쁨을구분하지 못할 때 쓰이는 말이다
天衣無縫(천의무봉)
자연스럽고 아름답고 완전함 :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자리가 없다는
뜻으로, 시(詩)나 문장의 흐름이 아주 자연스러움을 비유하는 말이다
靑天霹靂(청천벽력)
돌발적인 큰 사건이나 이변 : 맑게 갠 하늘에서 치는 벼락이라는 뜻으로
돌발적인 사고, 갑작스런 변화의 발생 등을 비유하는 말이다
只今과 來世
烏合之衆(오합지중)
아무런 통제 없는 무리 : 까마귀 떼처럼 아무런
통제 없는 무리를 비유하는 말이다
다중의 美
千載一遇(천재일우)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기회 : 천년에 한 번 만날 정도로
지극히 드문 기회를 뜻한다
酒池肉林(주지육림)
호화롭고 사치스러움 : 술이 연못을 이루고 고기가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화롭고 사치스러운 것이 극에 달한 것을 일컫는 말이다
一刻千金(일각천금)
시간은 돈 : 극히 짧은 시간도 천금의 값어치가 있다는 뜻이다
過猶不及(과유불급)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음 :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도리어 안한 것만 못함이라는 뜻으로, 中庸(중용)을 가리키는 말
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지나침이 미치지 못함만 못할 수도 있다.
배부름이 배고픔보다 좋지만 배가 너무 부르면 병이 나게 된다
'흑백사진·특수효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7월 8일 특수효과촬영-세미원-연꽃과풍경 연작 갤러리/ (0) | 2020.07.09 |
---|---|
아름다운 꽃의 향기를 색으로 표현한 추상사진 연작 갤러리/셰익스피어의 명언/ (0) | 2020.04.30 |
2019년 특수효과 촬영으로 색다른 느낌 표현하기- 연꽃. 수련꽃 연작 갤러리/탈무드의 명언/ (0) | 2019.07.29 |
특수효과 촬영으로 색다른 느낌 표현하기/버언즈의 詩-내 사랑은 빨간 장미꽃/타고르의 명언/ (0) | 2019.06.22 |
흑백사진/특수효과 촬영사진 작품갤러리(2) (0) | 2017.07.29 |